19. 프로젝트 발표 D-DAY(09.26) : 프로젝트 결과는 ...
1. 질문과 답변
- 먼저 전체적인 분위기 : 다들 질문을 많이 하지 않으시는 것이 아쉬웠다. 나는 다른 분들의 프로젝트에 너~무 관심이 많았는데 눈치보여서 한 조에 하나씩밖에 못 물어봤는데..
들어보지 못했던 분석기법도 궁금하고, 여기서 왜 이렇게 생각하셨는지도 궁금했는데 뭔가 공격하는 느낌이 들어서 죄송하기도 했다 어쨋든 경쟁이라서 그런가 ㅠㅜ
감사하게도 질문을 주신 부분과 답변 내용을 요약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1. 강남역을 기준으로 한다면, 강남역의 어느 영역을 기준으로 하는지
: 먼저 "해당 상권"이란 대시보드에 보이는 각 상권(Polygon) 영역을 말합니다.
=> 이 부분은 시각화가 잘 구현되어있고, 각 상권 명칭도 분명하다고 생각해서 설명을 더 상세하게 드리지 못한 점이 조금 어렵게 느껴지시지 않았나 생각이 들었다. 분석을 1달정도 하다보면 우리에게는 너무 쉽고 당연하게 느껴져 가끔 놓치는 부분이 생겨서 처음 보는 누구라도 이해가 잘 될 수 있도록 설명하는 능력도 키워야할 능력인 것 같다.
2. 더하여 그 영역 안에 어떤 편의점 브랜드가 있는지를 알려주어야 도움이 됐을 것 같다. 같은 편의점 브랜드가 일정 거리 안에 있으면 창업을 할 수 없다고 알고 있다. 때문에 편의점 브랜드별로 데이터를 얻어서 강남역이면 강남역에서 얼마정도 떨어진 거리까지를 환산했고, 어느 정도 거리까지는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정이 된다는 값과 함께 브랜드 별로 위치한 점포들을 같이 나타낼 수 있었으면 예비 가맹점주들을 위한 상권분석에도 이용할 수 있지 않았을까 생각이 들었다.
: 그 영역 안에 어떤 편의점 브랜드가 있는지에 대한 부분이 부족한 점은 저희도 아쉬운 부분이었고, 다음과 같이 설명드리겠습니다.
2-1 편의점은 다른 가게들에 비하여 브랜드별, 매장별 차별성이 매우 적다고 판단해서 편의점끼리는 동등하다는 가정으로 분석을 시작했습니다.
2-2 그리고 데이터를 직접 발로 뛰어서 조사하지 않는 이상, 혹은 그렇다 하더라도 공식적으로 믿을만한 데이터 수집이 어렵습니다(특정 일자의 편의점 데이터 존/부재 여부는 파악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
특히 이미 형성된 편의점은 해당 부분을 잘 고려하여 배치가 되어있고, 예비 창업주들께서는 본사와 편의점 근접 출점 제한에 대해 "반드시" 고려하게 될 것이므로 해당 내용을 따로 언급하지는 않았습니다.
=> 당일 급하게 피드백한 내용인데, 편의점 개별 분석을 실시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하다.
해당 상권에서 내가 편의점을 운영할 경우 평균적으로 분기별 시간대별 어느 정도의 매출을 낼 수 있을 것인지를 알고 본사와 협상에 응할 수 있는 힘이 되고자 한다는 우리 분석 특장점을 좀 더 강조해서 말씀드렸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2. 강사님 피드백
- 이 포트폴리오를 발전시켜서 어떻게 취업과 연결할 수 있을지? 어느 기업 어느 부서에 이 내용으로서 우리를 알리면 좋을지 생각해보자.
=> 유일하게 발표 PPT자료 퀄리티에 대한 언급이 없어서 뿌듯했다.
3. 프로젝트 결과
: 하지만 결론적으로는 1등을 하지는 못했다. 1등 팀이 고득점을 한 이유가 Django를 이용하여 웹개발을 통해서 대시보드를 구축했다는 점이라고 한다. ㅎㅎ.. 이 부분 코멘트는 여기까지 하도록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