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공모전)순환경제 활성화를 위한 서울시 스마트수거함 입지선정

공모전 참여 케이스 스터디 -3 (일회용품 쓰레기 감소를 위한 다회용기 렌탈 사업 비즈니스 모델 개발)

규딩코딩 2023. 10. 6. 00:17

본 게시글은 2021 빅데이터캠퍼스 공모전 수상작 중 하나인 " 일회용품 쓰레기 감소를 위한 다회용기 렌탈 사업 비즈니스 모델 개발  " 과제 발표 자료를 토대로 케이스 스터디한 것입니다.(출처 : 링크)

 

1. 목적 및 문제정의 파트

 

일회용 플라스틱 자체를 줄여 쓰레기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해야 한다. 일회용 플라스틱 감축을 위해서는 일회용, 재사용이 아닌, 다회용, 재사용으로써 플라스틱 생산과 소비 시스템의 전면적인 재설계가 필요하다.

∴  음식점과 소비자, 세척업체와 배달앱이 자치단체와 가치소비를 매개로 연결된 다회용기 비즈니스 모델을 제안

 

=> 단순히 특정 주체가 푸시하는 방식이 아니라 이해관계자들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비즈니스 모델로 연결하여 수익성을 고려한 것이 인상적인 부분이었다.

보는 내가 속상할 정도로.. 발표 PDF 자료가 글꼴이슈인지 깨져있다 ㅠㅠ

 

이 글에서는 생략되었지만, 경기도 배달특급 다회용기 사업이라든지, 서울시 X 요기요의 시범사업 등을 언급했으며 기존사업들의 한계점을 고려하여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하며 발표를 전개하였다.

 

★ 행정동 별 쓰레기 배출량 데이터은 부재함에 따라 행정동 단위의 데이터와 자치구 단위의 쓰레기 배출량 데이터의 다중회귀를 통해, 행정동 단위의 쓰레기 배출량을 산정함

 

2. 데이터 분석

클러스터링 부분에서는 min-max scaling을 실시한 뒤, K-means clustering을 진행하였으며 이 때 elbow point 를 이용하여 K를 정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행정동별 쓰레기 양을 산정하였고, 쓰레기 배출량이 가장 많은 행정동이자 + 배출량 상위 10퍼센트에 클러스터 2가 다량포진 되어있으며 그 클러스터에 속한 마포구 서교동을 최종 선정했다.

 

3. 수거함 최적입지 선정

- 가장 처음으로는 현실적으로 이 사업이 진행되기 위하여 무엇을 고려해야하는가?에 대한 중요한 내용을 언급하며 시작한다(인프라 부족으로 인한 지자체의 참여 필요 등 언급).

- 다회용기 수거 입지 선정 프레임워크를 구축하여 차후 다회용기 비즈니스 모델을 확대 적용 할 때 입지를 선정하는 기본 모델을 제시했다.

 

- 입지 후보를 선정할 때에는 도메인 지식을 활용했다. 487개

  • 의류 수거함, 폐건전지 수거함
  • 유동인구가 많은 위치 선정 ( 버스 정류장, 공공 자전거 정류소 )
  • 가로등, CCTV 이 설치된 주거 구역의 골목 내부 위치 선정

- 그 다음에 Applied Set Covering Modeling, 최대한 많은 수의 수거함이 수거 범위가 중복되지 않게 배치되도록 Set Covering Modeling을 변형하여 사용했다. 100개

 

- 여러 후보지 간의 지리적 특성을 반영한 지표를 산정한 후 값이 낮은 후보지부터 지워 나가는 알고리즘인 - P-Reverse Delete 알고리즘을 사용했다.

솔직히 모르겠어요 . . . 허허 무슨 논문을 보신걸까

 

5. 결론에서는 따로 새로운 내용보다는 기존의 내용을 일목요연하게 환기하는 느낌으로 요약하여 제시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