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 & 통계공부
통계 기초 상식 5 - 통계 조사 결과 제대로 이해하기
규딩코딩
2023. 8. 14. 18:10
5강. 통계 조사 결과 제대로 이해하기
표본조사
: 표본을 뽑아서 조사한 뒤 이를 근거로, 모집단의 특성을 추정
모집단
: 연구의 대상이 되는 집단. 즉, 조사연구자가 추론하고자 하는 모든 자료들의 집합이다.
표본집단
: 모집단에서 무작위 또는 계획적으로 선택된 부분집합을 의미. 표본집단은 모집단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작은 집단이며, 모집단을 대표하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
표본 추출 방법
무작위 추출
: 모집단에 속한 대상들이 표본에 뽑힐 확률이 모두 동일한 것
- 표본을 뽑는 사람의 판단이나 편리함이 고려되지 않음. 이 특징은 표본의 대표성을 유지하기 위한 필수 조건이다.
편의표본
: 주로 가까이에 있는 대상을 표본으로 추출
- 무작위 추출이 어려운 경우나, 연구의 예비적인 결과를 미리 알아보기 위해 사용.
편의표본 추출로 얻어진 결과만으로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를 범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함.
반응형
상관관계
: 어떤 변수가 증가할 때, 다른 변수가 함께 증가하는지 혹은 감소하는지를 관찰하여 파악해야 함.
상관관계 = 인과관계 ?
: 상관관계는 어떤 것들 간의 관계가 밀접하다는 것을 나타낼 뿐이며, 인과관계와 혼동하여 쓰지 않도록 주의해야한다.
- 흡연자들이 비흡연자들에 비해 폐암에 걸릴 확률이 높다 라는 결과조차도 상관관계이자 인과관계처럼 보이지만, 흡연이 폐암 발생의
유일한 원인
인 것처럼 단순하게 일반화하여 해석하면 안된다.
비교
: 둘 이상의 사물을 견주어 서로 간의 유사점, 차이점, 일반 법칙 따위를 고찰하는 것
- 비교는 계량적으로 나타내기 어려운 경우,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판단에 근거해서 비교해야 하므로 비계량적 요소에서 더 자주 일어남.
올바른 비교를 하기 위해서는?
- 비교를 할 때는 비교되는 특성이 같아야 한다.
(미국 실업률 vs 한국 실업률, 둘의 정의는 다를 수 있다) - 비교되는 특성 이외의 것들은 서로 비슷해야 한다.
(서울시의 1000명당 사망 인원 vs 대한민국 육군의 1000명당 사망 인원은 맞는 비교가 아님) - 대상들의 크기의 차이가 없어야 한다.(맑은 날과 안개낀 날의 교통사고 건 수 비교)
반응형